![]() |
![]() |
[우리집신문=감자] 울산지역 학교들이 18~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열린 ‘2025 울산미래교육박람회’에 참여해 수업 나눔과 체험형 공간(부스)을 운영하며 교육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울산 중구 명정초등학교(교장 권종근)는 수업나눔관에서 ‘모두를 따뜻하게 품는 허그(HUG) 통합교육 협력교수’를 주제로 수업 나눔을 운영했다. 이번 수업 나눔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협력교수’ 수업모형을 현장에 적용한 것으로 ‘평행 교수’, ‘스테이션 교수’, ‘또래 교수’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됐다. 수업을 설계한 김초이 교사는 “이번 수업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을 포함한 학생 모두가 즐겁게 수업에 참여해 친구에게 배우며 다양한 배움의 방식을 경험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다”라고 말했다. 남구 학성여자고등학교(교장 정영주)는 진로교육관에서 ‘나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 도전 잇기(챌린지)’ 체험 공간(부스)을 운영했다. 학성여고는 이 공간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연구하고 개발한 미래지향적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체험 공간(부스)에서는 학성여고가 연구 중인 신설 과목인 ‘미래 사회와 진로 설계(가제)’와 연계해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스스로 탐색하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경험을 제공했다. 프로그램은 ‘직업 디엔에이(DNA) 조합하기’, ‘직업 월드컵’, ‘대학 입시 매칭 빙고’, ‘워드클라우드 메모 보드’ 등 4단계로 구성돼 체계적인 진로 탐색을 도왔다. 학생 운영 도우미들은 또래 지도자(멘토)로 활약하며, 참가자들이 활동을 원활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학성여고는 이번 박람회에서 얻은 참가자의 평가 의견(피드백)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선해 다른 학교와도 공유할 예정이다. 북구 울산외국어고등학교(교장 이재근)는 진로교육관에서 ‘인공지능 기반 진로 탐색’과 ‘가상 융합 세계(메타버스) 전시’ 두 가지 체험 공간(부스)을 운영했다. ‘인공지능 기반 진로 탐색과 나만의 이모지 만들기’ 체험 공간(부스)에서는 인공지능 진로 상담 도구로 자신의 성향을 분석하고 이모지 특징물(캐릭터)을 디자인해 응원 문구를 담은 텀블러를 제작하는 체험을 제공했다. ‘울산 유토피아 만들기’와 ‘지속 가능한 도시 설계 연구(프로젝트)’ 전시에서는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지역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기획했으며, 그 과정을 영상과 가상 융합 세계(메타버스)로 구현해 현장 참관객이 몰입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울산외고는 이번 박람회에서 디지털 수업 혁신 모형(모델)과 학생 주도 연구(프로젝트)의 성과를 교사, 학부모, 학생들과 공유하며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교육방안을 모색했다.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우리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