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제주도의회, “예비문화유산”등록 등 근현대 제주문화유산 가치 재조명 필요

감자 | 입력 : 2025/02/25 [02:52]

▲ 제주도의회 강철남 의원


[우리집신문=감자]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연동을선거구)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35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2차회의에서 세계유산본부장을 상대로 “국가유산청 예비문화유산 등록하는 등 제주 근현대 문화유산의 가치 재조명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예비문화유산은 '근현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50년이 경과되지 않아 문화유산 등록에서 제외됐던 역사유산을 미래 국가유산으로 육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국가유산청은 지난해 1988년 서울올림픽 개회식에서 세계인의 주목을 받은 ‘88서울올림픽 굴렁쇠’, 1977년 한국 최초의 에베레스트 등반 원정대가 사용한 ‘에베레스트 최초 등반 자료’, ‘무소유’의 실천으로 큰 울림을 남긴 법정스님이 직접 제작하고 사용한 ‘법정스님 빠삐용의자’, 소록도에서 한센병 환자 치료·돌봄에 헌신한 마리안느와 마가렛 여사가 사용한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빵틀 및 분유통’을 문화유산으로서의 잠재적 가치를 품고 있는 ‘예비문화유산’의 대표적 후보 유물로 제시하며 “‘88서울올림픽 굴렁쇠’ 등 4건을 등록하기 위한 ‘근현대 예비문화유산 찾기 공모전’ 우수사례로 선정했다.

이에 강철남 의원은 “제주 문화유산에서는 등록된 근현대 문화유산을 찾아보기 힘들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가치가 있는 유물들을 얼마든지 찾아낼 수 있을 거라 본다. 국가유산청의 ‘근현대 예비문화유산 찾기 공모전’도 있겠지만 학술적 가치나 유물의 희소성 등을 고려하여 제주만의 의미있는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 유물을 찾아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기 바란다.”며 근현대 문화유산 가치 재조명을 피력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