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주도, 한라산 지질조사 보고서 20여 년 만에 새롭게 발간한라산 60여 개 개별 오름별 형성시기와 화산분화 특성 기술
[우리집신문=감자]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본부장 강석찬)가 8년간(2016~2023년)의 정밀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 정리한 『한라산 지질조사 보고서』를 20여 년 만에 새롭게 발간한다. 이번 보고서에는 한라산 1:2만 5,000 지질도가 포함돼 있으며, 오는 27일 도민 대상 보고회(한라수목원 시청각실, 14:00~15:30)를 개최한다. 이번 조사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고도 500~900m 이상 지역 약 234㎢(17.6×13.3㎞)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를 통해 화산암 분포와 조성, 분출연대 등 한라산의 화산지질학적 연구결과를 정리했다. 보고서는 한라산 고지대에 분포한 60여 개 오름의 화산활동을 상세히 담고 있다. 각 오름에서 분출된 용암과 화산쇄설물의 분포(영역), 주변 오름들 간의 선후관계, 암석 조성 및 분출시기(연대분석 결과)가 개별적으로 정리됐다. 더불어, 한라산을 이루는 독특한 오름 및 화산분출물(백록담, 모세왓, 영실, 어승생, 성널오름, 볼레오름 등)들의 화산분출 과정과 특징을 사진, 모식도 등을 활용해 설명했다. 특히 관심이 모아진 영실 분화구의 위치를 새롭게 파악해 보고한다. 함께 발간되는 지질도에는 개별 오름의 화산분출물의 분포범위, 조성, 분출연대가 한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도시됐다. 한라산 지질도는 2000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서귀포․하효리 도폭 발간 이후 20여 년 만에 새롭게 제작됐으며, 제주지역 연구기관의 자체 장기 연구과제로 수행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라산 지질조사의 상세 결과는 오는 27일 보고회를 통해 도민들에게 소개될 예정이다. 강석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새로운 지질도는 한라산의 지역, 식생, 토양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미래 화산활동 예측과 대응을 위한 핵심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조사의 연구 노하우를 바탕으로 제주도 전역의 지질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 제주 전역 360여 개 오름을 포함한 화산섬 제주의 형성과정을 종합적으로 규명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우리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