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과기정통부, APEC 아스파이어상 서울대 백민경 교수 우승

APEC 21개국 회원국에서 2025년 만 40세 미만 최고 연구자로 선정
감자 | 입력 : 2025/07/23 [02:1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리집신문=감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 APEC PPSTI는 7월 23일 2025 APEC 아스파이어 (Asia-Pacific Science Prize for Innovation, Research and Education) 최종 우승자로 우리나라의 백민경 교수(1990년생, 서울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우승자가 선정된 것은 지난 2015년 ‘엘니뇨 예측모델 구축 연구’로 수상한 서울대 국종성 교수 이후 10년 만이다.

아스파이어상은 APEC 역내 국제 협력을 통해 혁신적 연구성과를 낸 만 40세 미만의 젊은 과학자 1인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학술 논문기준의 연구성과 우수성 ▲APEC 역내 과학자와의 협력 ▲포용적 과학기술과 혁신을 통한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환경에의 기여를 기준으로 APEC 21개 회원국의 투표를 통해 우승자를 결정한다.

올해 아스파이어상은 ‘AI-BIO 융합: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AI 기반 포용적 생명기술(Toward AI-BIO Convergence: AI Based Biotechnology Solving Social Challenges)’을 주제로 진행됐다. 2025년 우리나라의 APEC 개최를 맞이하여 신흥기술의 사회·경제적 효용 제고,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 인공지능을 접목함으로써 사회적 난제 해결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다.

백민경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에서 인정받는 세계적인 연구자로, 2024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워싱턴대 교수와 AI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인 로제타 폴드(RoseTTAFold)를 개발한 핵심 연구자다. 로제타 폴드는 사이언스지가 선정한 ‘2021년 올해 최고의 연구’로 선정되기도 했다.

단백질 구조 예측은 질병을 이해하고, 신약과 치료제를 개발하는 전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분야지만 사람이 실험을 통해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과정에 최소 수개월, 최대 수십 년의 노력이 필요했었다. 백교수의 연구는 AI를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단일 단백질 구조를 해독함으로써 생명과학 연구와 신약개발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했다. 최근 백교수는 AI 기업과 협업하여 다중 단백질 구조 예측까지 연구범위를 넓히고 있다.

백교수는 아스파이어상 수상에 대해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연구가 재미있어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를 선택하게 됐는데, 포용적 과학기술을 강조하는 APEC의 비전과 잘 맞았던 것 같다. 과학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하고, 연결하는 작업이다. 앞으로 저를 포함한 우리나라 젊은 연구자들이 APEC 역내의 연구자, 그리고 각 분야 전문가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면 좋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장관 역시, “한국의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APEC에서 아스파이어 상을 수상하게 되어 기쁘다” 면서 “특히 우리의 삶을 바꾸고, 우리나라의 성장을 이끌어나갈 전략 산업의 핵심 축인 AI와 바이오 분야에서의 젊은 과학자들을 육성하고 이들이 국제 무대에서 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아스파이어상 시상식은 오는 8월 13일 과기정통부와 APEC 과학기술분야 실무그룹 PPSTI가 공동으로 인천 송도에서 개최한다. 아스파이어상 우승자에게 미화 2만 5천 달러 (한화 약 3천3백만 원)의 상금이 함께 주어질 예정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