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리집신문=감자] ■ 고수온 예비특보·특보 발표단계 <예비특보> 수온 상승 시기에, 수온 25°C 도달이 예상되는 해역. <특보> 폭염(고수온) 대책기간(~9/30)동안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 주의보 · 수온 28°C 도달 또는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해역. · 전일 수온 대비 3°C 이상 상승해역. · 고수온으로 수산생물 피해 발생이 예상될 때. - 경보 · 수온 28°C 이상이 3일 이상 지속 또는 지속이 예상되는 해역. · 전일 수온 대비 5°C 이상 상승. · 고수온으로 수산생물의 심각한 피해가 발생될 때. ■ 고수온 대응 ① 국립수산과학원 누리집에서 실시간 수온 정보 확인. 국립수산과학원 누리집 > 주요 수산연구정보> 실시간 해양수산 환경관측. ② 대응장비 작동 여부 사전 점검, '자연재해 대비 양식장 관리 요령'에 따라 조치. <고수온 양식장 관리요령> - 고수온 주의보(28°C 이상) - 고수온 경보(수온 28°C 3일 이상) · 수온·용존산소 모니터링 등 자기 어장 점검. · 사료공급 중단. · 대응장비 총력 가동. *액화산소공급장치, 저층해수공급장치, 산소발생기, 에어컴프레셔 등. · 차광막 설치 및 가두리 그물 침하. - 고수온 특보해제(27°C 이하) · 고수온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양질의 사료 공급(공급량 조절). · 어체약화로 인한 질병발생 우려, 어류질병 관리 강화. · 어체 안정화 및 산소 보강을 위한 액화산소 공급. ③ 피해 발생 시 관할 지자체에 즉시 신고 및 신속한 폐사체 처리. ■ 폭염 행동요령 - TV, 인터넷 등을 통해 무더위 기상상황 수시로 확인. - 물 많이 마시기. - 가장 더운 오후 2시~오후 5시에는 야외활동 및 작업 삼가기. - 현기증, 메스꺼움, 두통의 가벼운 증세가 있으면 무더위 쉼터 등 시원한 장소를 이용. 해양수산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수온 단계별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우리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