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대구시교육청,‘2025년 학생맞춤통합지원 추진 계획’발표 내년 전면 시행에 대비해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대구형 학생맞춤형통합지원 체계 구축에 총력
[우리집신문=감자] 대구시교육청은 학생을 중심에 둔 맞춤형 통합 지원 체계가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2025년 학생맞춤통합지원 추진계획’을 21일 발표했다. ‘학생맞춤통합지원’은 기초학력, 경제적·심리적 어려움, 학교폭력, 학대 등 복합적 어려움에 처한 학생에 대해 학교, 교육청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각 기관의 학생지원사업과 연계해 통합적인 해소를 이끌어 내는 학생이 중심이 되는 맞춤형 지원 체계를 말한다. 2022년 5월에‘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구축’사업이 교육부 국정과제로 지정되어, 대구시교육청은 선도학교·시범교육지원청 운영, 지역 전문기관 협력 등을 연도별로 확대 추진해 왔고, 올해 1월 21일자로‘학생맞춤통합지원법’이 제정되어 내년도 3월 1일부터 모든 학교에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대구시교육청은 올해 ▲정책기반 조성, ▲운영모델 개발, ▲교육복지 안전망 확대, ▲운영 지원 등 4가지 핵심 추진 과제를 중심으로 내년도 전면 시행에 대비해 대구형 학생맞춤형통합지원 체계 구축을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학생맞춤통합지원 정책 기반 조성을 위해 학교에 ▲지원 대상 학생 선정, ▲지원 계획 수립, ▲지역사회 지원 기관 연계 등의 역할을 수행할 ‘학생맞춤통합지원팀’을 구성해 운영한다. 시교육청과 교육지원청에는 기관 내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학생맞춤통합지원협의체’를 통해 각 부서별 정보 공유, 학교 지원 방안, 자문 제공, 민·관·학 네트워크 구축 등의 지원 체제를 구축한다. 다양한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해 ‘선도학교’는 지난해 4개에서 8개 학교로, ‘시범교육지원청’은 지난해 동부, 서부 등 2개에서 남부, 달성을 추가로 지정해 총 4개 교육지원청으로 각각 확대 운영한다. 교육복지안전망 확대는 학생이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운 삶의 문제를 전문가와 함께 해결해 나가는‘학생사례관리’를 운영하기 위하여, 지역 병원, 대학생 다품멘토링, 대구시자살예방센터, 대구변호사협회, 지역 장학회 및 장학재단 등 관련 전문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넓고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한다. 이와 함께, 학교 현장의 안정적 안착을 위해 선도학교 및 시범교육지원청 행·재정적 지원, 학교 운영 컨설팅, 우수사례 발굴 및 공유, 가이드북 제작 등 운영 지원 체제도 더욱 공고히 한다. 강은희 교육감은“맞춤형통합지원이 학교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의 협력적 소통과 참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복지 공동체 구축이 가장 필요하다”며, “모든 아이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복지망 구축에 교육공동체와 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와 협력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우리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