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기획] 누구나 농어촌버스 ‘무료’...주민 버스 이용도 만족도 ‘UP’

감자 | 입력 : 2025/02/23 [19:56]

▲ 주민 버스 이용도 만족도 ‘UP’


[우리집신문=감자] 평소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A 씨는 요즘 농어촌버스를 선호하게 됐다.

급행 노선이 생겨 목적지까지 이동시간이 빨라졌을 뿐만 아니라 왕복 버스요금 3000원을 아낄 수 있어 매우 만족한다며 서둘러 시내버스에 올라탔다.

음성군과 진천군이 보편적 교통 복지를 강화하기 위해 대중교통 요금 무료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주민의 이동권 보장에 나섰다.

현재 전국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중교통 요금 지원 유형으로는 비용 환급형, 염가 이용형(100원 버스), 무료 이용 방식이 있다.

이중 승객이 요금을 내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무료 버스는 청송군에서 2023년 처음 도입한 이래 완도군, 봉화군 등에서 시행하고 있다.

음성군은 진천군과 함께 지난 1월부터 탑승객의 거주지와 이용 횟수에 상관없이 누구나 음성과 진천 내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자유이용형 무료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 정책은 앞서 시행한 청송, 진도, 영암과 달리 음성군과 진천군이 업무협약을 통해 두 자치단체에서 공동으로 시행한 전국 최초 사례다.

2023년 기준 음성 농어촌버스의 1일 이용객 수는 3400명, 연간 126만명이다. 성인 기준 편도 1500원이던 버스요금이 무료로 전환됨에 따라 주이용층인 노인, 청소년, 외국인 주민 등 교통 약자에게 교통비 부담을 낮춰 경제적 혜택을 안겨줬다.

또한 지역 주민이나 관광객에게 전통시장이나 관광지 방문 등을 촉진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음성군은 농어촌버스 무료화 시행에 따라 버스회사에 운송 수입금 수준의 예산만 추가로 지원(13.5억원)하면 된다.

게다가 시스템 구축에 따른 제반 비용이 들지 않아 예산 절약도 기대된다.

앞으로 군은 음성을 경유하는 인근 지자체 농어촌 버스노선도 지역 내 운행에 대해 무료화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농어촌 무료 버스를 애용한다는 60대 B 씨는 “한두 정거장 정도의 거리는 걸어다니곤 했는데, 이제는 짧은 거리도 늘 시내버스를 타고 다닌다”며 “시내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버스 운전기사 C 씨는 “요금 무료화 이후 승객이 적게는 20~30% 늘었고, 특히 주말엔 외국인 주민이 많이 탑승한다”며 “승객들이 버스 무료화로 버스 이용에 만족하는 걸 피부로 체감한다”고 전했다.

조병옥 군수는 “농어촌버스 무료화 시행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증가가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무료버스 시행 이전에도 청소년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방안으로 지역에 주소를 둔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국 시내버스와 지하철에서 사용할 수 있는 10만원권 교통카드를 지원하며 교통약자의 교통복지 실현에 앞장선 바 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