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김정헌 인천 중구청장 “청라하늘대교, 민의 무시한 부당한 명칭‥이의 제기할 것”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적 맥락을 무시한 명칭 결정은 주민 공감과 행정의 형평성 저해”
감자 | 입력 : 2025/07/29 [02:31]

▲ 인천시 중구청


[우리집신문=감자] 지난 28일 인천시 지명위원회가 제3연륙교의 이름을 ‘청라하늘대교’로 의결한 것과 관련해 김정헌 인천 중구청장이 “청라하늘대교는 청라의 지명만을 반영한, 영종 주민에게 상당히 불합리하고 부당한 명칭”이라며 “합당한 명칭이 정해질 수 있도록 끝까지 이의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중구는 구민 공모, 전문가 심사, 주민 선호도조사 등 구민들의 목소리를 모아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선정된 구 대표 명칭 ‘영종하늘대교’를 시 지명위원회에 상정했으나, 위원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구는 이 같은 위원회의 판단이 ▲지역 정체성·역사성 ▲국내외 연륙교 명명 사례 ▲실제 이용 주체 등 ‘지명 결정의 기본 원칙’을 무시한 데다, 민의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국내 연륙교의 명칭 사례를 조사한 결과, 66%가 섬 명칭, 31%가 제3의 명칭으로 제정됐으며, 육지를 따른 명칭은 3%에 불과한 만큼, 연륙교의 명칭을 정할 때 섬 지명을 우선 고려하는 게 통례다.

인천 지역 내 다른 연륙교인 ‘강화대교’나 ‘강화초지대교’ 등도 모두 섬(강화도)의 이름을 따른 만큼, 선례를 따라 제3연륙교의 명칭도 ‘영종’을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는 게 구의 입장이다.

또한 제3연륙교 개통으로 실질적으로 생활의 변화를 꾀하는 주체는 ‘영종 주민’이라는 점, 교량의 도착(목적)지인 ‘영종’의 위치적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서 ‘영종’이 빠진 명칭은 합당하지 않다는 게 구의 논리다.

무엇보다 인천국제공항을 향하는 ‘하늘길’의 상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영종하늘대교’로 명명해야 세계로 연결되는 ‘관문도시’이자 ‘글로벌 톱텐 시티’로서의 인천의 위상과 가치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제3연륙교의 실제 이용 주체 역시 ‘영종 주민’과 더불어, 인천공항과 영종·용유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 등인 만큼, 위치적 정체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영종’이 지명에 반영돼야 한다.

아울러 영종지역 ‘제3연륙교 관광 자원화 사업’이 최초 계획보다 상당히 축소된 점 역시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함에도, 지명위원회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구는 판단하고 있다.

게다가 제3연륙교는 영종과 청라를 연결하는 기반 시설로, 양측 주민 모두에게 중요한 생활축이자, 지역의 상징성을 갖는 교량임에도, 위원회의 일방적·행정편의주의적 결정으로 오히려 지역 간 상생·화합을 저해하고, 또 다른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는 게 구의 설명이다.

김정헌 구청장은 “주민 공감과 행정 형평성을 저해하는 이번 지명위원회의 결정에 유감을 표한다”라며 “이제껏 영종은 경제자유구역임에도 송도나 청라에 비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소홀했던 만큼, 다리 명칭까지 끌려다닌다면 주민들의 상실감이 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구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방침”이라면서 “지명위원회 재심의에도 ‘영종’이 배제된 채 ‘청라’의 지명만을 반영한 명칭이 결정된다면, 추가 이의제기를 통해 국가지명위원회 심의 절차까지 밟는 등 영종 주민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