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리집신문=감자] 경상남도 소방본부는 30일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과 계곡 등 물놀이 장소를 찾는 이용객이 급증함에 따라,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와 계도 활동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올여름 전국적으로 낮 최고기온이 35도에 육박하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시원한 물놀이를 즐기기 위한 야외활동 수요도 크게 늘고 있다. 이와 함께 물놀이 중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현재 경상남도에는 26개 해수욕장과 168개소의 계곡·하천 물놀이 장소가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물놀이 장소가 도내 전역에 분포함에 따라, 해마다 물놀이 중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최근 5년간 전국적으로 발생한 물놀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12명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다수가 7월 하순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는 구명조끼 미착용, 음주 후 입수, 수영 미숙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 미이행이 지목되고 있다. 특히 도내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사고 또한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벌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야외 물놀이 장소는 실내 수영장과 달리 수심 변화가 심하고, 하부 지형이 불규칙해 갑작스레 깊은 곳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이 크다. 여기에 태풍이나 국지성 호우 이후에는 수중 지형이 크게 바뀔 수 있어 사고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이에 따라 소방본부는 물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음주 후 입수는 절대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망자 통계를 연령별로 분석하면, 60대 이상 남성의 비율이 절반을 넘는다. 얕은 수심에서도 입수 직후 갑작스러운 신체 이상으로 의식을 잃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입수 전 충분한 준비운동과 건강 상태 점검이 필수다. 또한, 20대 남성의 경우, 수심과 지형을 확인하지 않고 무리하게 다이빙을 시도하다 암석과 충돌해 중상을 입는 사고가 잦다. 구조대는 다이빙 시도 전 수심 확인은 물론, 구조대원 안내를 반드시 따를 것을 당부하고 있다. 어린이의 물놀이 안전 역시 보호자의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보호자 없이 혼자 물에 들어가지 않도록 지도해야 하며, 구명조끼 착용 습관을 어려서부터 생활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동반이 필요하다. 이동원 소방본부장은 “물놀이는 여름철 무더위를 식히는 좋은 방법이지만, 순간의 방심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구명조끼 착용, 준비운동, 음주 후 입수 금지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꼭 지켜주시고, 119시민수상구조대의 안내에 따라 안전한 물놀이를 즐기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 좋아요
<저작권자 ⓒ 우리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