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담양, 일상으로의 빠른 복귀를 기원하며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따른 제도적 기반 마련 중요
감자 | 입력 : 2025/07/30 [07:08]

▲ 담양군의회


[우리집신문=감자] 담양군은 지난 7월 16일~19일 평균 538mm, 최대615mm의 기록적인 폭우로 주택 255동 침수, 농경지 360ha 피해, 공공시설 150곳 이상이 파손되는 등 대략 173억4600만원 규모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불행 중 다행으로 위기상황 속에서의 선제적 대응과 신속한 대처로 단 한건의 인명피해도 없었으며, 정부는 2025년 7월 22일, 우리군을 포함한 6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우선 선포하며 신속 지원체계를 가동했다 .

이는 국가 차원의 지원을 공식화하는 것으로 공공시설 복구비 중 최대 약 70%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주민들은 세금 감면, 공공요금 유예 등을 통해 부담이 줄어들어 지역 회복에 크나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젠 피해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날 시간이다.

비가 채 그치기도 전인 지난 7월 18일부터 현재까지 피해현장 약 230개소에 각 기관․단체에서 4,811명(7월 29일 기준)의 봉사 인력이 찾아와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또한, 긴급한 공공시설 응급복구를 위해 10억원의 특별교부세가 지원됐으며, 피해주민의 특별재난‘지방세제 지원’이 시작됐고, 수해복구 봉사활동에 참여한 자원봉사자에게 왕복 무료 승차를 지원해주는 곳도 있다.

이 밖에도 여러 기업에서 다양한 기부와 지원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아끼지 않고 있어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온 국민이 나서서 함께 극복 해나가고 있는 것 같다.

이번 폭우는 단순한 기상 이변이 아닌 기후 위기의 현실을 보여줬다.
이런 반복되는 이상 기후 현상과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담양군의회는 관련 정책의 검토와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아울러 행정안전부에서는 매년 재해복구사업 실무지침을 발표하고 올해 6월에도 현 상황을 반영한 개정안을 배포했다. 우리군도 최근 피해가 가장심했던 2020년과 2025년 피해상황을 면밀히 검토하여 우리지역 실정에 맞는 재난대비책과 복구지침을 마련할 것을 요청한다.

우리 의회도 하천정비, 배수시설 개선, 주민 재난 대응 교육 등 예방 중심의 행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감독과 끊임없는 소통을 이어갈 예정이다.

또한, 복구사업과 예산 집행 과정에서 투명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회차원에서의 책임 있는 역할도 다 할 것이다.

담양군의회 장명영 의장은 “우리 담양군의회는 이번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단순한 제도적 혜택에 그치지 않고, 군민의 일상을 다시 세우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향후 현장 중심의 감독·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 지속적인 의회 활동을 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